서버 6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 네트워크 및 서버 트래픽 관리의 핵심 기술

디지털 환경에서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은 수많은 사용자 요청을 처리해야 합니다.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는 언제나 높은 트래픽을 견뎌야 하며, 이러한 트래픽이 서버 하나에 집중되면 성능 저하, 응답 지연, 장애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바로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입니다.로드밸런싱은 여러 서버에 요청을 분배하여 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이번 글에서는 로드밸런싱의 개념, 중요성, 다양한 방식과 기술적 구현 방법, 그리고 실제 적용 사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1.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의 정의로드밸런싱은 둘 이상의 서버나 중앙처리장치(CPU), 저장장치 등 리소스에 부하를 고르게 분..

서버/네트워크 2025.03.02

내가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단축키 모음

리눅스를 사용할 때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업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명령어와 단축키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제가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와 명령어를 기본, vi/vim 에디터, 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들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기본 리눅스 명령어 단축키파일이나 디렉토리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ls현재 폴더의 파일 목록 확인ls -a숨김 파일 포함 표시ls -l자세히 표시cd폴더 이동ls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나열하는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 -a 옵션을 사용하면 숨김 파일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l 옵션은 파일의 상세 정보(권한, 소유자, 크기 등)를 함께 출력합니다.cd 명령어는 디렉토리 간 이동..

서버/네트워크 2025.03.01

DNS(Domain Name System): 인터넷의 주소 체계를 이해하고 보안 강화하기

인터넷이 전 세계적으로 발전하면서, 우리는 일상에서 웹사이트를 검색하고 정보를 주고받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입력하는 도메인 이름 뒤에서 일어나는 과정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친숙한 도메인 이름(예: www.example.com) 을 통해 빠르게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웹사이트가 서버에 위치하는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입니다. 이를 사용자 친화적인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처럼 작동하여, 사람들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이를 해당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서버/네트워크 2025.02.27

HTTP와 HTTPS 차이점: 보안이 중요한 이유

인터넷을 이용할 때 웹사이트 주소 앞에 붙는 HTTP와 HTTPS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두 프로토콜은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지만, 보안성과 신뢰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TTP와 HTTPS의 차이점, 보안 방식, 그리고 HTTPS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HTTP란?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본적인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암호화되지 않은 일반 텍스트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중간에서 누군가가 정보를 가로채면 쉽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 특징비암호화된 텍스트 전송 → 데이터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80번 포트 사용빠른 속도 → 암호화 과정이 없어 연산 부담이 ..

서버/네트워크 2025.02.26

네트워크 IP와 IP 주소 클래스 개념 정리

IP 주소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 체계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컴퓨터나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데 사용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의 주소로서,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Internet Protocol Suite) 중 하나인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또는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에서 사용 IPv4 32비트로 구성된 주소 체계입니다. 일반적으로 "xxx.xxx.xxx.xxx"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예: 192.168.0.1)IPv4 주소는 총 4개의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되며, 각 옥텟은 0부터 25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IP..

서버/네트워크 2023.05.30

Docker 명령어 모음

Docker 란? :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Docker는 소프트웨어를 컨테이너라는 표준화된 유닛으로 패키징하며, 이 컨테이너에는 라이브러리, 시스템 도구, 코드, 런타임 등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 Docker를 사용하면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 및 확장할 수 있음 어디서나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단일 객체를 확보하여 격리된 서비스 제공 가능 도커의 컨테이너들은 리눅스 가상환경의 형태로 돌아감 = 도커 안은 리눅스 기반 내 운영체제가 리눅스가 아니여도 도커가 가상머신 안에 리눅스를 올려주어 현재 내 운영체제는 상관 없음 docker 이미지 : 컨테이너를 찍어내는 틀 자주..

서버/클라우드 2023.05.26